▣관광 .여행,기타/관광,여행 340

제주 올레의 진면목 애월 중산간 마을 길_제주올레길 -다시걷고 싶은길

제주 올레의 진면목 애월 중산간 마을 길, 제주올레길(한림항~고내포구) 제주 올레의 진면목을 들여다보려면 제주도민들의 삶을 알아야 한다. 올레 15코스가 지나는 중산간 지역은 제주도의 과거와 오늘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관광 책자에 나열된 관광지를 섭렵하며 돌아다니는 제주도 여행에 질렸다면, 진짜 제주도의 속살을 느끼고 싶다면 이에 적격인 올레 코스가 있다. 바로 중산간 마을들을 지나는 15코스이다. 중산간 마을은 제주도의 속살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관광객들이 흔히 말하는 원주민들의 생활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다. 총 19km에 이르는 전체 코스 가운데 특히 애월의 납읍리와 하가리로 이어지는 5km 구간은 이 코스의 백미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도의 오래된 초가와 마을 제단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메타세쿼이아 길

메타세쿼이아 길은 순창 담양지역 방문 코스중에서 세번째 방문지이다. 메타세쿼이아는 미국 서부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세쿼이아 나무 이후에 등장한 나무란 뜻이다 . 학계에서는 멸종된 나무로 보고 됐으나 1941 념 중국 후뻬이 성과 쓰촨성의 경계지역을 흐르는 양자강 상류 상류의 한 지류인 마타오치강에서 왕전이라는 산림공무원 물가 부근에 자라는 거대한 메타세퀘이아 나무를 처음 발견했다. 1946년 죽국지질학회지에 살아 있는 메타세쿼이아로 확정 세상에 보고 됐다. 담양의 메타세퀘이아 길은 정부 가로수 시범사업 일환으로 1972년에 담양읍~순창(국도 24호선) 경계까지의 약8 km도로에 가로수로 식재 됐으며, 이후 현재의 담양읍 학동구간 메타세쿼이아 명소길에 수령40년이상 (수고 30 여 미터 흉고85 센티내외 )..

죽녹원

두번째 찾은 곳은 죽녹원이다. 죽녹원은 2003년 5월에 조셩하여 약15만5천 재곱미터의 울창한 대나무숲이 펼처져 있다.죽림욕을 즐길 수 있는 총 2,4 km 의 산책로는 운수대통길.사색의길.사랑이 변치않는길.죽마고우길,추억의 샛길,성인산 로름길,철학자의길,선비의길 8가지로 이름을 붙여 놓았다. 죽로원 입구에서 천천히 운수대통길로 들어서면 굳어 있던 몸이 플리고 대나무 사이로 불어오는 대바람이 일상에 지쳐 있는 심신에 청량감을 불어 넣어 주는것 같다.또한 댓잎의 사각거리는 소리를 듣노라면 어느덧 빽빽이 대나무로 둘러 쌓여서 대나무 숲 한가운데 내가 서 있음을 발견하면서 푸른 댓잎을 통과해 쏟아지는 햇살의 기운을 온 몸으로 받아내는 기분 또한 몹시 신선함을 느끼면서 가슴속에는 알수 없는 희열을 느낄수 있었..

소쇄원

소쇄원은 자연적인 생태를 크게훼손 하지 않고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원림으로서 양산보(1503~1557)라는 선비가 조셩했다고 하며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를 당하여 돌아가시게 되자 출세의 뜻을 접고 이곳에서 자연과 더블어 살았다고 함 소쇄원이란 뜻은 양산보의 호가 소쇄옹에서 비롯된 것으로 "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 담겨있슴. 조그만 한 정자 형식의 오곡문,계월당,광풍각 등이 있으며 영조31년 당시 모습을 목판에 새긴 소쇄원도가 남아 있어 원형을 추정할수가 있다고 함.지금의 소쇄원은 양산보의 5대손인 양택지에 의해 보수된 모습이다. 복잡한 현실을 잠시 떠나 이런 곳에서 자연으로 돌아가 온갓 번뇌에 찬 마음을 정화하는것도 현대인이 건강하게 살아가는 힐링 여행이 될것 같다. 소재지는 전남 담양군 남면..

강천산군립공원,강천사

전라북도 순창군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으로서 강천산은 예로부터 옥천골이라 불리울 만큼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 그리고 토양을 간직한 맛과 멋의 고장인 순창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다. 계절마다 발견되는 진귀한 풍광들과 함께 넉넉한 마음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것 같습니다.특히 출렁이는 현수교를 설치하여 많은 등산객들은 여기서 사진도 찍고 서로 마주보는 산을 쉽게 건너 다닐수 있도록 되어있다.입구에 들어서서 길따라 계곡따라 올라가면서 보니 수목이 울창하여 여름이나 가을에 정말 풍광이 좋을것 같다.단풍나무가 유난히 많아 물든 단풍을 상상만 해도 너무 아름다울것 같다. 평탄한 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현수교 못가서 강천사라는 사찰이 있는데 강천의 문화재로서 오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 92호) 모과나무(지방기념물 제9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