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예절 문답(5) 생활예절 문답(5) 문31) 각종 간행물에 보면 한식, 추석, 설날 등에 조상을 받드는 예를 '제사'라고 하는 데가 있는가 하면 '차례'라고도 하는데 어떤 것이 맞습니까? 답 31) 좋은 질문입니다. 제사(祭祀)와 차례(茶禮)는 지내는 경우 와, 상차림, 지내는 절차등이 엄연히 다릅니다. '祭'자를 쓰..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2.09.15
생활예절 문답 (4) 생활예절 문답(4) 문21) 저의 손아래 매부(누이동생의 남편)가 저보다 나이가 많습니다. 호칭과 말씨를 가르쳐 주십시오? 답 21) 사위에게 있어 처가의 어른은 직계존속(장인 장모등) 뿐이고 기타는 일반 사회적 관계입니다. 질문의 경우 손위 처남이기는 하나 나이가 자기보다 적으니까 '형..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2.09.14
옛날 경성의모습 남산공원 야외 음악당 경성 시가지 일부 京城 東洋拓殖株式會社. 日帝가 1908년 12월 자본금 1천만원으로 설립한 식민지 경제 수탈의 본거지. 을지로 2가에 있었다. 일본 정부로부터 거액의 융자를 받아서 한국의 토지를 손에 넣었다. 토지조사사업이 끝났을 무렵에는 7만8천정보 이상의 토..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2.09.14
생활예절 문답 (3) 생활예절 문답 (3) 문11) 저는 50대 후반으로 더러 '할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불려 집니다. 저보다 나이가 많은 모르는 분을 어떻게 부를지 곤란합니다. 역시 '할아버지'라 불러도 될까요? 답11) 모르는 노인을 '할아버지'라 부르는 것은 바른 호칭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애칭입니다. 우리 조상..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2.09.12
생활예절문답 (2) 생활예절문답 (2) 문4) 부모에게 '님'자를 붙이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정의례준칙의 지방 쓰는 법에 "아버님 신위, 어머님 신위"라 한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닌지요? 답4) 옛날부터 부모를 문서(文書)에 쓸 때는 '님'을 붙였습니다. 예컨대 편지에 '父主前 上書'라 썼는데 '主'는 '..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