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대학입학제도의 변천사

청산(푸른 산) 2011. 7. 3. 15:19

 

최근 반값 등록금으로 온 나라가 대학등록금에 쏠려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대학진학률은 81.9%로 일본과 미국의 경우 60%대인 것과 비교하면 세계최고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이미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수차례 경탄하며 언급했던 것처럼 세계가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런 교육열을 반영하듯 대입제도는 혼돈과 시행착오, 수정·보완 등을 수차례 반복해왔습니다. 실제로 1945년 이후 지난 6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대입제도는 16차례나 변화했습니다. 여기 그 자료를 인터넷에서 요약해 보았습니다. 여러분께서 대학 진학할 당시에는 과연 어떤 제도로 입학하였는지 되새겨 보시기 바랍니다.

 

대입제도는 나라에서 주관하는 ‘국가고사’와 대학이 자체적으로 치르는 ‘대학별 고사’,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고교내신’의 요소를 기본으로 서로 조합하여,‘예비고사기’, ‘학력고사기’, ‘수능시험 이후기’로 나누고 있습니디.

전문의 내용을 보실 경우에는  다음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부산나그네쉼터(http://blog.daum.net/pknugold/?_top_blogtop=go2myblog)

 

용호만에서 채선일드림

 

■ 예비고사기(1945~1981) 

 

1. 1945~1953년 : 대학별 단독고사

 

2. 1954년 : 국가연합고사, 대학별 고사

 

3. 1955~1961년 : 대학별 고사 위주, 고교내신

 

4. 1962년 :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사

 

5. 1963년 :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사, 대학별 본고사

 

6. 1964~1968년 : 대학별 단독고사

 

7. 1969~1972년 : 대입예비고사, 대학별 본고사

 

8. 1973~1980년 : 대입예비고사, 대학별 본고사, 고교내신

 

9. 1981년 : 대입예비고사, 고교내신

 

 

■ 학력고사기 (1982~1993년)

 

10. 1982~1985년 : 대입학력고사, 고교내신

 

11. 1986~1987년 : 대입학력고사, 고교내신, 논술고사

 

12. 1988~1993년 : 대입학력고사, 고교내신, 면접고사

 

 

■ 수능 이후기(1994년~현재)

 

13. 1994~1996년 : 대학수학능력시험, 고교내신, 본고사

 

14. 1997~2001년 :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생활기록부, 논술고사

 

15. 2002~2007년 :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생활기록부, 대학별 자율결정

 

16. 2008~현재 : 수능등급제, 내신등급제, 대학별 자율결정

2008년도 대입 개편안은 수능등급제 전격도입, 내신 강화를 통한 고교 교육 정상화, 학생선발권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2004년 10월 예고돼 3년여의 유예기간을 거치며 홍보와 보완과정을 거쳤으나 불확실성을 담보로 한 사교육 시장의 팽창은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대학에서는 입학사정관제 확대, 적성검사 전형, 다양한 외국어 성적을 요구하는 전형, 다양한 경력이나 활동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전형 등 우수한 인재 선발을 위한 수많은 전형을 실시하기는 있지만 수능성적 의존도는 여전히 높고 사교육 만연, 내신 성적 부풀리기, 고교교육의 파행적 운영, 고교등급제 문제 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7년부터 도입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도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시하면서 학생부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대학은 학생선발의 자율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제도인데도 불구하고 일부 사교육기관에서는 입학사정관제에 대비한 수강생을 모집하는 등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2014년 : 수능시험 2번, 국·영·수 난이도 선택

한편 2010년 8월19일 발표된 ‘수능체제 개편안’에 따르면 2014학년도 대입부터는 수능시험은 매년 11월에 보름 간격으로 두 차례 실시하게 됩니다. 수험생은 두 번의 시험 중 과목별로 높은 점수를 대입전형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시험과목도 국어, 영어, 수학과 탐구1과목, 총 4과목으로 축소되고 국어와 영어, 수학은 난이도를 달리해 수준별 시험으로 치러진다고 합니다.

 

※ 출전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kice.re.kr)

조선닷컴

(http://inside.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0/19/2010101902005.html)

 

 




날마다 좋은날 되소서!
010-9345-1804
blog 주소 http://blog.daum.net/pknugold
채 선 일 드림


'▣아이콘 배경 > 역사전통,작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모음  (0) 2011.07.17
림룡순의 그림세계  (0) 2011.07.03
사라져 가는 농촌 풍경  (0) 2011.06.30
조선왕조 실록  (0) 2011.06.28
사서(四書) 삼경(三經)   (0) 201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