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건강 정보/명의,병원

겨울철 통증유발 불청객…'대상포진'이 뭐길래?

청산(푸른 산) 2011. 2. 13. 10:47

겨울철 통증유발 불청객…'대상포진'이 뭐길래?

뉴시스 | 배민욱 | 입력 2011.02.13 06:02 | 수정 2011.02.13 08:24 | 누가 봤을까? 50대 여성, 강원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직장인 김모씨(32)는 얼마전부터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심한 고통이 있고 몸살기가 느껴졌다. 약을 먹고 버티다 간신히 증상이 완화되는 듯 했다.

갑자기 어깨, 팔 등에 통증이 심하게 오기 시작했다. 피부에는 물집까지 잡혔다. 지속된 통증으로 김씨는 결국 병원을 찾았다. 진단 결과는 대상포진이었다.

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신체 저항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수험생, 회사원들이 대상포진에 걸려 병원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요즘처럼 갑자기 추워졌을 때 면역력이 떨어져 걸리기 쉽다. 초기 증상이 몸살이나 근육통과 비슷하고 피부 질환 같기도 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대상포진, 통증·수포 유발

대상포진은 겨울철에 생기는 물집이다. 신경병증 통증의 대표적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등이나 가슴에 수포가 생긴다. 초기의 가벼운 피부 발진이나 수포는 항바이러스 약물 복용과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뤄지면 쉽게 낫는다.

증상을 오래 방치하면 치료도 어렵고 치료 후에도 통증이 남아 고질병이 되기도 한다. 평균적으로 발진이 나타나기 4~5일 전부터 피부결을 따라 통증, 감각이상이 발생한다. 두통, 발열, 권태감 등이 동반될 수 있다.

피부발진은 침범한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붉은 구진과 반점으로 나타나고 12~24시간 안에 수포를 형성한다. 대상포진은 초기에 감기 증세처럼 시작해서 전신 권태감, 발열과 오한이 있을 수 있고 속이 메스껍고 배가 아프며 설사가 나기도 한다.

피부 발진은 심한 통증이 먼저 생기고 3~10일이 지난 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신경통, 디스크, 오십견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

◇환자수도 매년 급증

환자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대상포진 심사결정자료'에 따르면 지난 4년간 대상포진 환자 수가 연평균 8.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상포진은 그 자체도 문제지만 극심한 신경통이 후유증으로 남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심각한 질환이다. 바이러스가 숨어있는 신경계가 교란되면 해당 신경이 연결되는 얼굴, 팔, 다리, 몸통 등 여러 부위까지 신경통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수두바이러스에 의한 신경계의 염증으로 신경계의 통증 전달 체계가 변성돼 나타난다. 만약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대상포진의 피부증상이 나아지더라도 신경계의 교란으로 인한 증세와 함께 신경통이 남을 수 있다.

◇대상포진 예방과 치료법은?

대상포진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유아들에게는 수두 예방주사를 접종해 주는 게 중요하다.

성인의 경우에는 면역력이 약해지면 발병하므로 평소 규칙적인 생활과 적당한 휴식을 꼭 취해야 한다. 과음이나 과식, 과로를 피하고 정기적인 운동과 균형잡힌 식사로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해야 한다. 평소 피부보습 등 각별한 주의도 요구된다.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 받으면 최소한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수포는 2~3주 정도 치료를 받으면 회복된다. 발병 후 3일 이내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복용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대상포진에 걸렸을 경우에는 수건에 따뜻한 물을 적셔 열습포찜질을 해주면 아픔을 덜 수 있다고 한다.

대상포진이 가장 잘 생기는 부위는 흉부다. 등으로부터 시작해 옆구리, 가슴, 복부로 이어진다. 그 다음으로는 얼굴 부위다. 특히 이마나 앞머리 또는 뺨에 나타난다. 그 밖에 목, 허리, 다리에도 드물게 발생한다.

찬바람을 쐬지 않고 목욕할 때는 물집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게 좋다. 통증이 심할 때는 뜨거운 물로 수건을 적셔 환부를 마사지해주는 열습포 처리가 도움이 된다.

전문가들은 "치료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다"며 "치료시기를 늦췄다가 신경통으로 진전되면 어떠한 진통제나 신경치료를 해도 고통이 느껴지면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된다"고 조언했다.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은?…과일·녹황색 채소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은 호박, 당근, 토마토 같은 녹황색 채소다. 청국장 등도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양파는 혼탁한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고 다친 혈관을 개선시켜 대상포진증상을 완화시켜준다.

오렌지, 레몬, 귤도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이다. 다량의 비타민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이다. 하루에 2~3개 정도를 먹으면 좋다.

mkbae@newsis.com

'▣병원 건강 정보 > 명의,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십견치료와 체조  (0) 2011.02.22
심장마비에 대한 대처법입니다.  (0) 2011.02.14
abo피의 혈액형  (0) 2011.02.13
말을 많이 하는데,   (0) 2011.02.08
뇌졸중에 대처요령  (0) 201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