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
?세계유산의 정의
유산이란 우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오늘날 그 속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인데, 유네스코는 이러한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 및 문화유산들을 발굴 및 보호, 보존하고자 1972년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whc; 약칭 ‘세계유산협약’)을 채택하였고, 협약에서 규정한 탁월하고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 중에서 그 특성에 따라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분류한다.
◆문화유산
문화유산은 기념물, 건조물군, 유적지가 있는데,
?기념물은 기념물, 건축물, 기념 조각 및 회화, 고고 유물 및 구조물, 금석문, 혈거 유적지 및 혼합유적지 가운데 역사, 예술, 학문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유산이 있고,
?건조물 군에는 독립되었거나 또는 이어져있는 구조물들로서 역사상, 미술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유산이고,
?유적지는 고고 유적과 위협에 처해 있는 동물 및 생물의 종의 생식지 및 자생지로서 특히 일정구역에서 과학상, 보존상, 미관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것을 지정한다.
◆자연유산
?자연의 기념물로서 관상상 또는 과학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것.
?과학, 보존, 자연미의 시각에서 볼 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주는 정확히 드러난 자연지역이나 자연유적지
?지질학적 및 지문학(地文學)적 생성물과 이와 함께 위협에 처해 있는 동물 및 생물의 종의 생식지 및 자생지로서 특히 일정구역에서 과학상, 보존상, 미관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것
◆복합유산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징을 동시에 충족하는 유산
?세계유산현황
세계유산은 전 세계 148개국이 보유하고 있는 890점(09.11월 현재)에 이른다. 그 중 문화유산 689점, 자연유산 176점, 복합유산 25점이 있다.
?세계유산 등재 절차
세계유산 등재 절차는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각국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잠정목록 등재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시작된다. 단계별 절차는 잠정목록 등재(1년 전 신청)⇒본 신청서 제출⇒자문기구의 현지실사 및 평가⇒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매년 6월말에서 7월 사이 개최)
?세계유산 등재의의와 효과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것은 해당 유산이 어느 특정 국가 또는 민족의 유산을 떠나 인류가 공동으로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는 중요한 유산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세계유산이 소재한 지역 공동체 및 국가의 자긍심이 고취되고, 자신들이 보유한 유산의 가치를 재인식함으로써, 더 이상 유산이 훼손되는 것을 막고, 가능한 원 상태로 보존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어도 해당 유산의 소유권이나 관리는 이전과 변화가 없으며, 당사국 국내법의 적용을 받는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면 위원회에 마련된 세계유산기금으로 당사국의 관리에 보완적으로 국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세계유산 보유국 현황
이탈리아 44점, 스페인 41점, 중국 38점, 독일 35점, 프랑스 33점, 멕시코 29점, 영국 28점, 인도 27점, 미국 20점, 브라질 17점, 오스트레일리아 17점, 캐나다 15점, 스웨덴 14점, 일본 14점, 포르투갈 13점, 체코 12점, 페루, 폴란드 11점, 벨기에, 이란 10점, 한국 9점 등(9점미만은 생략함)
?한국의 세계유산 (총 9점)
◆해인사장경판전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며,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로 높이 평가되어,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종묘
종묘는 제왕을 기리는 유교사당의 표본으로서 16세기 이래로 원형이 보존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닌 의례공간으로,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석굴암?불국사
석굴암은 신라시대 전성기의 최고 걸작으로 그 조영계획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유산이며, 불국사는 불교교리가 사찰 건축물을 통해 잘 형상화된 대표적인 사례로 아시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건축미를 지니고 있어, 불국사는 1995년 12월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되었다.
◆창덕궁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여,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수원화성
18세기에 완공된 짧은 역사의 유산이지만 동서양의 군사시설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으로서 방어적 기능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약 6km에 달하는 성벽 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며 모든 건조물이 각기 모양과 디자인이 다른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고창, 화순, 강화의 선사유적들은 거대한 석조로 만들어진 2,000∼3,000년 전의 무덤과 장례의식 기념물로서 선사시대 문화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당시의 기술과 사회현상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으로, 형식의 다양성으로 고인돌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유럽, 중국, 일본과도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경주역사지구
경주역사유적지구는 한반도를 천년이상 지배한 신라왕조의 수도로 남산을 포함한 경주 주변에 한국의 건축물과 불교 발달에 있어 중요한 많은 유적과 기념물들을 보유하고 있다.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일본의 교토, 나라의 역사유적과 비교하여 유적의 밀집도, 다양성이 더 뛰어난 유적으로 평가된다. 2000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제주 화산성과 용암동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은 제주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 오름 용암동굴계 3개이다. 제주도는 수많은 측화산과 세계적인 규모의 용암동굴, 다양한 희귀생물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분포하고 있어 지구의 화산 생성과정 연구와 생태계 연구의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아름다운 경관과 생물· 지질 등은 세계적인 자연유산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어, 2007월 6월 27일, 뉴질랜드 클라이스트처지에서 열린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왕릉
‘조선왕릉’은 조선왕조의 독특한 장묘 문화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이 당시 조선왕조의 세계관, 종교관 및 자연관을 바탕으로 타 유교 문화권 왕릉들과는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 있어, 2009년 6월 30일,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조선왕릉' 40기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2010년 현재)
◆문화유산(8점)
강진 도요지, 공주부여역사유적지구, 중부내륙산성군(보은군, 청주시, 괴산군,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안동 하회마을, 월성 양동마을, 남한산성, 익산 역사 유적지구, 염전(신안군, 영광군)
◆자연유산(4점)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남해안 일대 공룡화석지, 대곡천 암각화군, 서남해안 갯벌(전북 고창군, 부안군, 전남 순천시, 보성군, 무안군, 신안군 등)
유네스코와 유산에서 참고함.
'▣아이콘 배경 > 역사전통,작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진할아버지 제문 (0) | 2010.08.31 |
---|---|
옛날에 이런용기를 다 어디다 썼을까? (0) | 2010.08.17 |
조선왕조 제7대 세조에 대하여 (0) | 2010.08.13 |
조선왕조 제3대 태종 이야기 (0) | 2010.08.13 |
조선왕조 제ㅣ대 태조에 관하여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