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25. 전화(戰禍)
★ 다시 보기 어려운 처음 공개 귀한 자료 ★
아래 사진은 결코 잊지 말아야죠.
![]() ![]() ![]() ![]() ![]()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 청진항을 향해 함포사격을 가하고 있다
![]() 부대가 평양부근에 투하되고 있다
![]() ![]() ![]() ![]() 주민들이 폐허더미에서 땔감이나 돈이 될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 성당 내부를 신도들이 청소하고 있다
![]() ![]()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전란 중에도 추수를 하고 있다.
바람개비로 알곡을 가리는 농부들
![]() ![]() ![]() ![]() ![]() ![]() 두 여인이 전신주 뒤로 불안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 ![]() 피난열차에 피난민들이 몰려들고 있다
![]() ![]() ![]() ![]() ![]() ![]() ![]() ▲ 1950. 12. 12.
유엔군들이 후퇴하면서 다리를 폭파시키고자 폭약을 장치하고 있다
![]() ![]() 한 병사가 너무 추운 날씨로 모포를 뒤집어쓰고 있다
![]() 미처 함정에 오르지 못한 피난민들이 발을 동동거리고 있다.
대부분의 피난민들은 원자탄이 투하된다는 말에 피난 행렬에
나섰다고 한다. 몇 날의 피난 길이 50년이 더 지났다. ![]() ![]()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 닿을 수 없자 유엔군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LST로 가고 있다
![]() ![]() ![]() 한강 얼음을 깨트리며 나룻배로 남하하고 있다
![]() 소달구지가 힘겨워하자 힘을 보태고 있다
![]() ![]() ![]() ![]() ![]() ![]() ![]()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 ![]()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 양곡을 타기 위해 줄을 선 주민들
![]() ![]() ![]() ![]() ![]()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 어예든동 살아오이라.
"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돌아올 깁니다."
![]() ![]() ![]()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 ▲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 (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종군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왼쪽부터 허정, 콜트. 무초 주한 미대사).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새로운 공개되지않은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고, 사진 설명은 원문을 참조하여 필자가 가다듬었습니다.
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자료로 남기를 바랍니다. 생사가 교차되는 전선에서 귀한 사진을 남긴 카메라맨들에게 경의를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하고 가시리잇고"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 ▲ 1950. 7. 29. "뜨거운 전우애" 한 병사가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가고 있다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7. 29. 마을 소년들이 주먹밥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7. 29. 야간전투후 주간 취침.ⓒ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7. 29. 취침 후 병기 손질ⓒ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8. 4. 피난민들의 보금자리 산동네 판자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8. 8. 누가 이 아이를 버리게 했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8. 8. 다리 아래 피난민 움막ⓒ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 1950. 8. 9. 임시 포로수용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jaykiulee41@hanmail.net" rel=nofollow target=emptyframe> |
'▣아이콘 배경 > 역사전통,작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봄 (0) | 2013.03.17 |
---|---|
우리 대한민국 역사 동영상 (0) | 2013.03.09 |
중국 건축 문화 유적 (0) | 2013.03.06 |
노인과 여인 (0) | 2013.03.05 |
조선왕조 실록 · 세계 최고의 기록유산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