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秋夕)의 의미(意味)
추석(秋夕)의 의미(意味)
'洌陽歲時記(열양세시기)'에 나오는
추석 인사말이 있습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큼만 하여라'
추석의 역사 유래를 잠시 살펴볼 것 같으면
“삼국유사(三國遺事)”기록을 보면
신라 제3대왕 유리왕 9년에 도성을 6부로 정하고
그 도성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음력 7월 16일부터 밤늦도록 날마다 길쌈을 하여
한 달 후인 음력 8월 15일까지 어느 편이 더 많이 삼았는지를
심사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했다고 합니다.
이 때에 노래와 춤, 그리고 온갖 놀이를 했다고 해서
“가위”라고 불렀다고 하니
우리는 여기서 추석을 왜 “한가위”라고 부르게 되었는지를
짐작 할 수가 있습니다.
중국(中國)에서도 “중추절(仲秋節)”이라는 이름으로
달을 제사하는 만월제의 풍속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달을 상징하여 월병(月餠)이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추석이 다가오는 계절에는 아침 저녁으로 날씨가 쌀쌀해지므로
사람들은 서서히 여름 옷에서 가을 옷으로 갈아 입습니다.
요즈음에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옷을 사 입고 있지만
생활이 어려웠던 시절에는 설날이나 추석, 그리고 생일날처럼
특별한 날에만 새 옷을 사 입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추석에 사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 불렀던 것입니다.
농촌에서는 추석 무렵에 그 해 농사 중 가장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의
곡식을 골라 묶어서 기둥 위나 벽에 걸어 놓았는데,
이러한 풍속을 “올게심니”라고 합니다.
올게심니를 했던 이유는
다음 해에도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것이기 때문에 이 날에는
떡을 하고 술을 빚었으며 닭도 잡아 작은 연희(宴會)를 베풀기도
했다고 합니다.
추석을 맞아 행하는 의식으로는
차례(茶禮)와 성묘(省墓)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자세히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명절에는 제사를 차례(茶禮)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절사(節祀)라고 합니다.
차례는 보통 설이나 추석에 지내지만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서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대보름날, 한식, 단오,
중양절(음력 9월 9일),동지에도 차례를 올린다고 합니다.
차례에 대한 호칭도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채사, 차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조상을 모시는 조상은 불천위(不遷位)와 함께 4대 조상에 한하는데,
불천위(不遷位)란
다름 아닌 나라에 공훈이 많아 사당에 모시고는 4대가 지나도
내어 모시지 않고 제사를 받들도록 허락한 분의 위패를 말하는 것입니다.
차례(茶禮)라는 명칭은 차를 올린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
중국 전래의 제사의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차례의례에서 차를 올리는 절차가 없는데
이재(李縡)가 살았던 17세기 후반에도
이런 현상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는 “사례편람(四禮便覽)”을 통해
“차는 본래 중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례의 절차에서 설다(設茶),점다(點茶: 차를 끊여 올리는 것)와
같은 글귀는 모두 빼버렸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이(李珥)의 말을 인용하여
조상에게 올리는 별찬과 시식의 종류를 적고 있습니다.
“동지에는 두죽(팥죽)을 준비하고, 정초에는 탕병(떡국),
약반(약밥), 애병(쑥떡), 각서(줄 풀잎으로 찹쌀을 싸서 송편같이 만든 떡),
증병(시루떡), 수단(경단), 상화(기장떡), 조율고(대추와 밤을 섞어 찐 백설기)
등을 준비합니다.
그런데 추석 차례는 설날과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햅쌀로 술을 빚으면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있습니다.
차례가 끝나면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省墓)를 하는데
추석 앞서 낫을 갈아서 여름 동안 무성하게 자란 풀들을 깎아주는
벌초를 하게 됩니다.
성묘(省墓)란 묘를 살펴서 손질하는 것으로서
전묘, 배분, 배소례, 상묘의라고도 합니다.
주자의“가례”에 의하면
성묘는 묘제의 한 부분으로 되어 있지만
본래는 성묘에 제례의 절차가 합쳐져 발전된 것으로 보입니다.
손여제의“예서유편(禮書類編)”에 의하면
묘제는 진나라 때의 여묘로부터 시작되어 당나라 개원
(開元, 713~741)연간에 한식상묘(寒食上墓)의 풍속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대체로 가례를 통하여 살펴보면
정초에는 차례만 모셨고, 한식에는 성묘만 모셨으며,
추석에는 차례와 성묘를 모두 모셨고,
10월 1일에는 4대 이상의 조상에 대한 묘제가 봉행 되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추석 떡으로는 송편을 빼놓 수가 없는데 열 나흗날 저녁에는
밝은 달을 바라보면서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송편을 만듭니다.
그런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예쁜 배우자를 만나고,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난다고 해서 처녀,
총각들은 예쁘게 만들려고 애를 썻던 것입니다.
또한 임산부가 태중 아이의 성별이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솔잎을 가로 넣고 찐 다음 한쪽을 깨물어 솔잎이 붙은 곳을
깨물면 딸을 낳고, 솔잎의 끝을 깨물면 아이들을 낳게 된다고 했습니다.
정원가족님들!
결실의 계절..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한가위를 맞이하여
즐거운 추석 보람있게 보내십시요.
넉넉하고 풍요로운 마음으로 인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의 마음만큼이나 풍성한 보름달을 바라보며
온 가족 함께 모여 소원성취하시길 바랍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한가위 보내시고,
더욱 밝은 모습으로 다시 뵙기를 기대합니다.
To You 드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