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의 유래
음력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 아침에일찍 일어나
땅콩이나 호두를 깨무는 것을 "부럼 깐다"라고 한다.
부럼은 딱딱한 껍질로 된 과일을 말한다.
호두나 잣, 땅콩 같은 것들이다.
또 "부스럼"의 준말로 피부에 생기는
증기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옛날 조상들은 달이 밝은 밤을 신비롭게 여겼다.
특히 보름날 밤에는 둥근 달을 보며 더욱 흥겨워 했다.
그래서 일 년 중에서도 첫 번 째 찾아오는 정월 보름은
더욱 소중히 여겨서 "대보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월 대보름날 뜨는 보름달을 보며
한 해의 소원을 빌며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농부들은 풍년이 들기를 빌곤 했다..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다.
태고적 풍속은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의 수세하는 풍속과 같이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세운다는 기록이 보인다.
한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小 正月)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정월대보름의 민속놀이
보름새기 -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 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한다.
더위팔기 - 보름날 해가 뜨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내 더위 사'라고 외치면 한해 더위가 상대방에게 팔린다.
달 맞 이 - 초저녁에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으면서
새해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빈다.
가장 먼저 소원을 빈 사람이 가장 길하다고 한다.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에 태우면서 풍년을 빈다.
다리밟기 - 땅에 놓여진 '다리'를 밟으면 밟는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기대하며 다리를 밟는 풍습이다.
액막이 연 - 그 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의미로
연을 띄워보낸다.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쓴다
이 이외도 쥐불놀이,지신밟기,달집태우기등 지역에 따라
민속놀이 등이 다양하게 전해 내려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