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
신사임당의 자녀들 중 그의 훈로와 감화를 제일 많이 받은 것은 셋째 아들 이(珥)이다.
이이는 그의 어머니 사임당의 행장기를 저술하였는데, 그는 여기에서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천품, 정결한 지조, 순효(純孝)한 성품 등을 소상히 밝혔다.
윤종섭(尹鍾燮)은 이이와 같은 대성인이 태어난 것은 태임을 본받은 사임당의 태교에 있음을
시로 읊어 예찬하였다.
사임당은 실로 현모로서 아들 이이는 백대의 스승으로, 아들 이우(李瑀)와 큰딸 이매창(李梅窓)은
자신의 재주를 계승한 예술가로 키웠다.
현모양처의 대명사로 거론되는 신사임당
현대 여성의 시각으로 볼때 이견이 있을 수 있는...
여기서는 그의 그림으로만 보기로 한다.
작품으로는 〈자리도 紫鯉圖〉 ·〈산수도 山水圖〉 ·〈초충도 草蟲圖〉 ·〈노안도 蘆雁圖〉 ·
〈연로도 蓮鷺圖〉 ·〈요안조압도 蓼岸鳥鴨圖〉와 6폭초서병풍 등이 있다.
어숭이와 개구리
산차조기와 사마귀
원추리와 개구리
양귀비와 도마뱀
오이와 개구리
'▣아이콘 배경 > 역사전통,작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 김정희의 글씨모음 (0) | 2010.08.06 |
---|---|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2 (0) | 2010.08.06 |
신윤복작품 21편 (0) | 2010.08.06 |
조선시대미술 윤두서작품 (0) | 2010.08.06 |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의 그림 (0) | 201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