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운세,역학

물(水) 부터 알아야 재운이 보인다

청산(푸른 산) 2014. 3. 17. 10:36
 
♣♡ 물(水) 부터 알아야 재운이 보인다♡♣ 

'풍수지리'를 글자대로 풀이하면 
바람과 물, 그리고 땅의이치란 뜻이 된다. 
풍수라고 지침한 것은 그만큼 
풍(風)과 수(水)가 지기(地氣)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얘기다. 
따라서 물과 바람을 알지 않고 풍수를 보는 법을 알긴 어렵다.
산 이란 누가 봐도 형상이 뚜렷하기 때문에 
쉽게 왈가왈부할 수 있는 반면 
물 은 보이는 물과 보이지 않는 물이 있다.
산을 보는 법은 일촌(一寸)만 높아도 산이요, 
일촌만 낮아도 물로 보는 것이기에 분별이 쉽다. 
그러나 바람과 물 은 눈에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가장 중요한 물의 형세부터 알아보자. 
풍수 고전에의하면 "모름지기 먼저 물의 형세를 보고 
사용하라"고 하였다. 
터(용혈)와 더불어 물의 중요함을 말한 것이다. 
풍수에서 '용'이란 터(묘)까지 내려오는 산 또는 능선을 
총칭한 말이다.
혈은 가장 기운이 뭉쳐 있는 곳이다.
수(水)는 터(용혈)의 맥(脈)이 되는 것이다. 
두 갈래 물 중에 필히 산이 있다.
물이만나는 곳이 용의 끝이다. 
용이 끝나고 물이 날아가듯 도망가면 생기가 흩어지고 
물이 융성하게 흐르면 안에 기운이 모임이니 
이것이 자연의 이치인 셈이다. 
물이 깊은 곳에는 부자가 많이 나오고 
물이 얕은 곳에는 가난한 자가 많이 출생하고 
물이 모이는곳에 사람이 많이 거처하고 
물이 흩어지는 곳은 고향을 떠나 객지로 가는 사람이 많다. 
서울 부근에서도 풍수 답사를 주로 가는 곳이 팔당댐 주변인 
양평군과 남양주인 이유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가장 기본적인 풍수이론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 주변에 유독 전원주택, 카페, 묘가 있는 이유도 
'물은 곧 재물'이라는 풍수이론과 부자가 되고 싶은 
사람의 심리가 잘 맞아떨어지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옛날 풍수가인 사씨(謝氏)는 "좋은 물은 융성하게 모이고 
흩어져 달아나지 말아야 하고 들어오는 물은 잘 모여야 하고 
나아가는 물은 보이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집터나 묘 가까이에 들어 오는 물(來水)이 있을 때 
물이 옆으로 오는 것은 돌아와서껴안는 것 같고, 
근처에 와서는 마치 서성거리며 맴도는 것 같이 
싸안아야 한다. 
터에서 볼 때 물이 직선으로 들어오거나 나가지 않고, 
한쪽으로 기울거나 높고 급하지 않고 배반하지 않으며 
도망가지 않아야 하고 깎이고 뚫린 것으로 
솟구치는 것 같은 형상은 좋지 않다.
 [김민철 건국대학교 부동산아카데미 지도교수]
           - 옮 겨 온 글 -
            line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 청 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