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건강 정보/웰빙건강
수면 무호흡증 5가지 예방법 1 ,술·담배 끊고 적정 체중 유지로 수면무호흡증 예방하세요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이비인후과학회는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국민들의 올바른 질환인식과 건강생활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수면무호흡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5대 생활 수칙'을 29일 권고했다. 수면무호흡증 예방관리수칙은 성인 수면무호흡증의 위험 요인 관리 및 조기 진단·치료의 중요성뿐 아니라 소아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담고 있다. 비만, 술, 담배는 성인의 수면무호흡증의 위험도를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체중 조절과 금주 및 금연으로 수면무호흡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 소아의 수면무호흡증은 기도가 완전히 막히는 무호흡증보다 부분적으로 막히는 저호흡이 수면 중 지속적으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 식욕 저하, 안면발달장애 등 신경정신적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 예방·관리 5대 수칙은 △적정 체중을 유지할 것 △술과 담배를 끊을 것 △코골이, 주간 졸림 등이 있으면 수면무호흡증이 아닌지 의사와 상담할 것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수면무호흡증을 적극적으로 치료할 것 △소아의 수면무호흡증은 조기에 치료할 것 등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세계 뇌졸중의 날'을 맞아 뇌졸중과 연관있는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질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예방·관리 규칙을 마련했다"며 "심정지·초기 뇌졸중 등 응급사항 대응 강화를 위한 대국민 뇌졸중 대응지침을 보급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통해 급성기 질환 진료 역량 제고(3차 예방)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들의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주요 궁금증을 모아 만든 '수면무호흡증 예방관리 자주하는 질문'을 올해 7월 개발·배포해 수면무호흡증 건강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 청 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