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 그림 신사임당 신사임당의 자녀들 중 그의 훈로와 감화를 제일 많이 받은 것은 셋째 아들 이(珥)이다. 이이는 그의 어머니 사임당의 행장기를 저술하였는데, 그는 여기에서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천품, 정결한 지조, 순효(純孝)한 성품 등을 소상히 밝혔다. 윤종섭(尹鍾燮)은 이이와 같은 대성인이 ..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0.08.06
신윤복작품 21편 신윤복 작품 21편^^ 0) { var bConf = confirm&#033('배경음악은 함께 스크랩되지 않습니다.\n스크랩 하시겠습니까?'); if(bConf == false) { return; } } if(nParentNo != '' && nParentNo > 0 && nParentNo 0 && nParentNo '; sHTML += ''; document.getElementById('divComment' + nPostNo).innerHTML = sHTML; } function copyURL(sData,sMode) { switch(sMode) { case "link": var sMs..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0.08.06
조선시대미술 윤두서작품 자화상 종이에 담채, 38.5 x 20.5cm 해남종가 소장. 초상화의 미학이 寫實과 傳神의 구현이라고 할 때 공재의 <자화상>은 이 두 가지 모두에서 성공한 드문 예이다. 이 한 폭의 그림속에 공재의 인생과 예술이 모두 담겨있다. “터럭 한 올이라도 같지 않으면 그 사람이 아니다” (一毫不似便是他人)라..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0.08.06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의 그림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의 그림 황묘농접도 중국에서 고양이의 묘(猫)와 70노인을 칭하는 mao→마오→ 모(耄)와 나비의 접(蝶)과 80노인을 칭하는 die→디에→ 질(耋)이 발음이 같기에 이런 그림을 그린 것이라 합니다. 묵죽도(墨竹圖) 紙本水墨 23.0*27.4 간송미술관 소장 이 그림은 단원이 만년에 그린 .. ▣아이콘 배경/역사전통,작품 201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