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조심 말조심을 이르는 속담.격언 ○
![]()
자기가 먼저 남에게 잘 대해 주어야 남도 자기에게 잘 대해 준다는 말. 말이 많음을 경계하는 말. 남에게 해를 입히려고 고자질을 하는 사람이 ![]()
![]() 글 속에 글 있고 말 속에 말 있다 : |
말과 글은 그 속뜻을 잘 음미해 보아야 한다는 말.
금도 모르고 싸다 한다 :
내용도 모르고 아느 체하다.
나무에 오르라 하고 흔드는 격 :
솔깃한 말로 남을 꾀어 난처한 처지에
빠뜨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아무리 비밀히 한 말도 누군가가
듣는다는 뜻으로, 항상 말조심을 하라는 말
내가 할 말을 사돈이 한다 :
내가 해야 할 말을 남이 가로채어 한다.
/ 내가 원망해야 할 일인데 남이 도리어 나를 원망한다.
/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을 남이 대신 해주어 잘 되었다.
담벼락하고 말하는 셈이다 :
미욱하고 고집스러워 도무지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과는 더불어 말해 봐야 소용없다는 말.
말로 온 동네를 다 겪는다 :
[온 동네 사람을 말로만 때운다는 뜻으로]
실천은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말만으로 해결하려 함을
이르는 말.
말 많은 집은 장 맛도 쓰다 :
가정에 말이 많으면 살림이 잘 안 된다는 말.
말 한 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
말만 잘 하면 어떤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는 말.
모난 돌이 정 맞는다 :
성격이나 언행이까탈스러우면 남의 공격을 받게 된다는 말.
모화관 동냥아치 떼쓰듯 :
경우에 닿지 않는 말로 성가시게 군다는 뜻
못 먹는 씨아가 소리만 난다 :
되지 못한 자가 큰소리만 친다.
/ 이루지도 못할 일을 시작하면서 소문만 굉장히 퍼뜨린다는 말.
문비를 거꾸로 붙이고 환쟁이만 나무란다 :
자기가 잘못하여 놓고 도리어
남을 나무란다는 말.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
사람이 잘날수록 잘 난 체하거나 떠벌리거나
하지 않는다는 말.
미꾸라짓국 먹고 용트림한다 :
사소한 일을 하고선 무슨 큰일이나 한 듯이
으스대거나, 못난 사람이 잘난 체함을 이르는 말.
미친 중놈 집 헐기 :
당치도 앟은 일에 어수선하고 분주하게 떠들거나
날뛴다는 뜻.
받는 소는 소리치지 않는다 :
일을 능히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사람은
공연한 큰소리를 치지 않는다는 말.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
말을 삼가야 함을 경계하는 뜻의 말.
밤 말은 쥐가 듣고, 낮 말은 새가 듣는다 :
비밀히 한 말이라도 새어 나가기
쉬우니 늘 말을 조심하라는 뜻.
번갯불에 솜 구워 먹겠다 :
거짓말을 쉽게 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자랑 끝에 불 붙는다 :
자랑이 지나치면 그 끝에 무슨 말썽이 생기기 쉽다는 말.
범도 제 말하면 온다 :
남의 말을 하자 마침 그 사람이 온다.
[ 당사자가 없다고 함부로 흉을 보지 말라는 말.]
사돈 남(의) 말한다 :
제 일은 젖혀 놓고 남의 일에만 참견함을 이르는 말.
상주보고 제삿날 다툰다 :
정확히 아는 사람 앞에서 자기의 틀린 것을 고집한다는 뜻.
소더러 한 말은 안 나도 처(妻)더러 한 말은 난다 :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말을
조심하라는 뜻.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 :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 나름으로
사뭇 다라진다는 말.
음식은 갈수록 줄고 말은 갈수록 는다 :
먹을 것은 먹을수록 주나 말은 할수록 보태져,
걷잡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니 말을 삼가라는 말.
익은 밥 먹고 선소리한다 :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싱겁게 하는 사람을
핀잔하여 이르는 말.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해라 :
언제든지 말을 정직하게 해야 한다는 말.
입술에 침이나 바르지 :
거짓말을 천연스럽게 꾸며 대는 것을 욕하는 말.
입찬소리는 무덤 앞에 가서 하라 :
입찬말은 죽어서나 하라는 뜻으로,
함부로 장담하지 말라는 말.
혀 아래 도끼 들었다 :
제가 한 말 때문에 죽을 수도 있으니,
말을 항상 조심하라는 뜻
황소 제 이불 뜯어 먹기 :
우선 둘러대서 일을 해냈지만,
알고 보면 자기 손해였다는 말.
【금낭화】
|
|
【안개 속의 물봉선화】
|
![]() 犬牛白活 有誰存察 (견우[발괄] 유수존찰) |
【모싯대꽃】
|
![]() 晝語雀聽 夜語鼠聽(주어작청 야어서청) |
【안개 속의 동자꽃】
|
![]() 言他事食冷粥 (언타사식냉죽) ![]() 言人言冷粥飡 (언인언냉죽손) |
【당아욱꽃】
|
![]() 到墓前言方盡 (도묘전언방진) |
【쇠별꽃 과 봄까치】
|
![]() 饌傳愈減 言傳愈濫 (찬전유감 언전유람) |
☞ 말이란 옮겨가면 갈수록 과장되기 마련이라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음식은 전해질수록 더욱 줄고 말은 전해질수록 더욱 넘친다.
[한자풀이] 饌(찬) 반찬 / 愈(유) 더하다 / 減(감) 줄다 / 濫(람) 넘치다,함부로
【개갓냉이꽃】
|
![]() 談虎虎至 談人人至 (담호호지 담인인지) |
【산당화(=동백 축소판)】
|
![]() 無足之言 飛于千里 (무족지언 비우천리) |
【붉은 인동초꽃】
|
![]() 言不中理 不如不言 (언부중리 불여불언) (명심보감) 언어(言語)편 ] 못하다. 같다 |
【개불알꽃(일명:봄까치)】
|
![]() 孩兒之言 宜納耳門 (해아지언 의납이문) 한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 |
【천일홍】
|
![]() 男兒一言 重千金 (남아일언 중천금) |
【3000년에 1번 핀다는 우담바라꽃】
【노루귀꽃】
虛張聲勢 |
![]() 言甘家醬不甘 (언감가장불감) |
【솔나리】
【등꽃】
【꿩의비름】
뻐꾹나리】
|
'▣꽃,분재,수석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능 수목원 야생화 (0) | 2010.11.15 |
---|---|
한국 야생화 사진 전시회 (0) | 2010.11.07 |
드림파크의 코스모스와 억새 (0) | 2010.10.29 |
가을과 코스모스 (0) | 2010.10.17 |
버섯과야생화 (0) | 2010.09.23 |